일제 강점기 동안 식민지배수탈정책으로 한반도 전체는 지옥이었다.
특히 말기 황국신민화와 병참기자화로 조선인들은 징용, 징병,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고, 전국토는 전장으로 바뀌고 있었다.
그 중 제주도는 해안에서부터 한라산 중턱까지 곳곳에 일제 강제징용의 현장이 남아 있다. 이른바 ‘결7호 작전’이라 하여 일제가 일본 본토수호를 위한 최후의 교두보로 제주도를 택했기 때문이다.
결7호 작전을 수행할 제58군이 신설되고, 예하에 제96사단, 제111사단, 제121사단, 독립 혼성제 108여단 등 모두 7만 5,000여 병력이 제주에 주둔하며 제주도 전역을 군사 요새화하기에 이른다. 그 일환으로 제주도 해안을 돌아가면서 동굴진지를 구축하는데, 이는 상륙하는 미군 함정을 공격하기 위한 일본 해군의 자살 특공기지였다. 대표적인 곳이 송악산과 성산일출봉, 서우봉, 수월봉, 삼매봉 해안 등이다.
특히 송악산의 경우 해안의 동굴진지 외에 알뜨르에 비행장까지 건설하고, 주변에 격납고와 탄약고, 고사포진지, 지하벙커 등이 만들어진다. 한마디로 송악산 일대는 해안과 오름 사면, 주변의 평지까지 전체를 군사 요새화한 것이다. 당시 만들어진 시설들은 훗날 한국전쟁 때에는 육군 제1훈련소로 이용됐고, 이후 해병부대가 주둔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http://www.hankookilbo.com/v/0ac2d2bae38c4c7cbda28b3c129d9990
"... 녹은 살 식은 피 흩어진 뼈.."
4.3사건 와중에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이미 전쟁 발발 오래전부터 수많은 이들이 학살당했다.
전쟁을 틈을 타 또다시 학살이 자행되었다.
4.3사건부터 한국전쟁 예비검속 학살에 이르기까지 학살 가해자들은 바로 '독립군 때려잡던' 친일파들이었따.
4.3사건 강경 진압을 주도한 9연대 송요찬과 2연대 함병선은 일본군 출신이다.
(송요찬은 청양사람으로, 얼마전 청양군은 송요찬 '선양사업'에 나섰다가 제주4.3유족을 비롯한 반발로 취소됐다.
(일본군 출신 함병선은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장군 제1묘역 8)
11연대장 최경록은 일본군 준위였고, 제주경찰청장이던 홍순봉은 일제 경찰로 만주에서 활동했다.
예비검속 학살로 대표적인 사건이 섯알오름 학살이다.
섯알오름 학살은 두차례에 걸쳐 진행됬다(1차 1950년 7월 16일~20일, 2차 1950년 8월 20일).
일제강점기 탄약고로 씌였던 2개의 구덩이가 학살터였다.
1956년 3월 29일 한구덩이에서 62구의 시신이, 같은 해 5월 18일 또 다른 구덩이에서 149구의 시신이 수습돼 만벵듸와 백조일손 묘역에 각각 안장됐다. 아직도 40여구 이상이 학살터에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조일손(百祖一孫)은 '조상이 다른 100여명의 유해가 엉켜 하나가 되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탄약고 웅덩이에서 시신들이 썩어.. '녹은 살, 식은 피, 흩어진 뼈'가 되었기 때문에 누구의 시신인지 찾을 수가 없었다.
학살 가해세력은 1차는 모슬포 주둔 해병 2대대(대대장 김동하 소령) 소속 부대원이고, 2차는 해병 3대대(대대장 김윤근 소령) 소속 부대원으로 지목된다.
두 지휘관은 모두 일본군 출신으로 김동하는 1961년 5.16쿠데타에서 해병대를 이끌고 동참해 박정희와 함께 한강대교를 건넌 핵심 세력 중 한 명이고, 죽어서는 대전형충원 장군 제1묘역에 안장되어 있다.
만주 육군군관학교 출신인 김윤근도 5.16군사쿠데타에 주역으로 가담한 뒤 국가재건최고회의 교통체신 위원장 등을 지냈고, 5.16정변 세력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설된 수도방위사령부의 초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결국 제주도는 인민군 점령의 위험이 없는 상황에서도 민족반역자였던 친일파들이 끊임없이 민간인들을 학살했고, 이후에도 꾸준한 반민족행위로 기득권을 유지했던 것이다.
온 국민이 찾는 제주의 자연과 삶 속에 아직도 구석구석 상처가 묻어 있다.
겨레하나 여행사업단 '더하기 휴' 아니었으면 못 가볼 곳들이 많았다.
그리고 '더하기 휴'의 해설사님과 『꽃 같던 청춘, 회문산 능선 따라 흩뿌려지다』의 저자 정찬대님께도 감사드린다.
'역사․인권․평화기행 > 기행 및 기행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내 골령골, 노근리 평화기행(2017.11.09) (0) | 2017.11.09 |
---|---|
제주평화기행_3일차_새별오름과 관덕정(2017.10.28) (0) | 2017.10.29 |
제주평화기행_1일차_4.3기념공원_너븐숭이기념관 등(2017.10.26) (0) | 2017.10.27 |
9월 산책, <Dark Tourism 대전천 - 평화路의 산책>_산내골령골 해설(2017.09.24) (0) | 2017.09.29 |
DMZ 평화기행(오두산전망대, 도라전망대, 도라산역 등, 2017.09.23) (0) | 2017.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