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인권․평화기행

제주평화기행_1일차_4.3기념공원_너븐숭이기념관 등(2017.10.26) 맨 처음 도착한 제주공항(정뜨르비행장)부터 제주도 어느 곳인들 학살터가 아닌 곳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제주도에 4.3관련 사적지가 597곳에 달합니다. 제주4.3은 친일파 등용, 적산처리문제, 미곡정책 실패 그리고 단독정부 수립(분단) 기도 등 미군정의 한반도 지배정책에 항거한 민족,민중투쟁이었습니다. 제주4.3에 대한 강경진압을 명령한 자가 당시 미군정 군정장관 윌리엄 딘(대전전투에서 패하고 도망을 가다 잡힌 딘 소장이 바로 그입니다). 4.3사건 관련자들이 수만명이 학살되었고, 학살을 피한 이들은 육지 형무소로 이감되었다가 결국 한국전쟁 발발 직후 또다시 군경에 의해 무참히 학살되었습니다.(대전 산내 골령골에서도 학살자 7천여명 중 300여명의 제주 희생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군정 시기 뿐 아.. 더보기
옛 마달령 터널(증약터널, 증약가선 증약 제1터널, 제2터널, 제3터널) 더보기
대전지역 평화, 인권탐방 시니어 가이드 양성사업 1강(2017.10.17) 대전지역 평화, 인권탐방 시니어 가이드 양성사업 1강 대전 근현대사 원도심 기행(대전역에서 인동시장까지) 더보기
9월 산책, <Dark Tourism 대전천 - 평화路의 산책>_산내골령골 해설(2017.09.24) 9월 산책, _산내골령골 해설(2017.09.24) 더보기
DMZ 평화기행(오두산전망대, 도라전망대, 도라산역 등, 2017.09.23) 아직도 아물지 않은 분단의 상처...그리고 한 때 회복중이었던 남북관계의 흔적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이제는 그 흔적을 다시 새기고, 상처를 치유하여 한반도 평화 번영의 길로 나가야 합니다. 더보기
철도노조대전지방본부 평화기행(대전형무소, 산내골령골, 2017.09.08) 해방 후 대전형무소를 다시 채운 이들은 이승만과 미군정의 단독정부 수립 시도에 저행했던 이들...그리고 노동자, 농민, 인민들의 주권을 찾기 위해 투쟁했던 이들이었다. 1946년 9월 노동자들의 총파업 때에 대전의 철도노동자들을 비롯하여 군시제사공장, 동아연필공장 등 시안의 주요공장 노동자들이 일제히 파업을 단행했다. 1948년 2월 7일, 2.7구국투쟁에서 대전철도노동자들은 ‘유엔조선위원단입국반대’, ‘임금인상’ 등의 구호를 들고 총파업에 돌입하였다. 이리하여 경부선, 호남선의 철도운행은 일시 마비상태에 빠졌다. 이들의 투쟁에 연대성을 표시하여 대전방직 공장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갔으며 대전농업학교를 비롯한 대전의 중등학교 학생들도 시위투쟁을 벌렸다. 1948년 5.10단선반대투쟁을 위해 5월 8일 새벽.. 더보기
철도노조대전지방본부 평화기행(대전형무소,산내골령골, 2017.09.06) 철도와 더불어 대전에는 일본인들이 들어 왔다. 처음에는 철도 관련 기술자에서 그들을 보호한다는 명목하게 철도수비대가 들어 왔다. 일본인들이 가족을 데리고 대전으로 이주하게 되면서 일본일들을 위한 소학교와 고등중학교를 세웠다. 조선인들에게는 경찰, 헌병, 군대 등 억압기구로 탄압했다. 저항하던 이들은 감옥에 가두었다. 대전감옥(형무소)의 시원은 항일독립운동가들을 가두던 중구금시설이었다. 해방이 되어 형무소 문이 열려 모두가 석방되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형무소가 가득 찼다. 절반은 경제사범이었고, 절반은 정치사범이었다. 미군정은 제대로 군정을 펼치지 못해 민생은 파탄났고, 절도와 자살이 늘어 났다. 이승만은 단독정부 수립을 앞세워 자신의 기득권을 채우기에 급급했다. 제주4.3사건, 여순사건 등 단독.. 더보기
기독교 장로회 서울노회 통일사회부 '산내 골령골 평화통일기행'(2017.09.05) 멀리 서울서 내려와주신 기독교 장로회 서울노회 통일사회부의 목사님들과 장로님들 고맙습니다. 박승렬 목사님의 기도처럼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께 힘 모아주십시오. 산내 골령골도 치유와 평화를 위해 몸부림치겠습니다. 더보기
광주 민주평화인권 기행(2017.08.19~20) 광주 민주․평화․인권 기행□일시 : 2017년 8월 19일(토) 08:00~20일(일) 15:00□장소 : 대전-국립 5∙18민주묘지-(구)전남도청-5∙18교육관-5∙18자유공원-대전❍ 공동주최: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5·18기념재단 더보기
'충남도지사 관사 및 보문산 일대'(2017.07.21) 한국전쟁으로 찢긴 대전의 현장을 찾아 ○일시: 2017년 07월 21일(금)○장소: 충남도지사관사, 대전지구 전적비, 대전지구전승비(UN탑) 등 한국전쟁으로 찢겨진 대전의 현장들을 찾아서.... 조약이나 협정에 의해 성문화된 것도 아니고 국회의 비준을 얻었던 것도 아니었지만, 주한 미군에 대한 치외법권을 보장하는 조치였던 일명 '대전협정(재한 미국군대의 관할권에 관한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협정)'이라고 불리는 일이 대전이 임시 수도가 되었던 1950년 7월 12일, 서한 교환으로 발효되었다. 이 것의 법적 지위를 주기 위해 주한 미군 지위 협정(한미 SOFA)이 1966년 7월 9일 조인되었고, 1967년 2월 9일에 발효되었다. 그리고 지금도 돌려받지 못하고 있는 '작전지휘권'도 대전이 임시수도로 있.. 더보기